본문 바로가기
잡다하게 궁금한것

친위 쿠데타의 뜻과 의미, 해외의 사례

by 딴청의하루 2025. 2. 13.

2024년 12월 3일, 정말 잠 못 이루는 밤이었죠.

저도 그날 밤 집에서 컴퓨터로 작업을 하다가 뜬금없는 소식에 밤새도록 뉴스를 보며 마음 졸였던 기억이 있습니다.
윤석렬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에서 재판을 받고 있는 지금, 이러한 행위는 헌법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채, 권력의 연장을 꾀한 '친위 쿠데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냥 쿠테타도 아니고 '친위 쿠데타'는 어떤 의미일까요?

 

친위쿠테타
출처 : unsplash

 

[목차]

친위쿠데타의 뜻

친위쿠데타의 사전적 의미

친위쿠데타의 해외 사례

 

 

 

 

친위 쿠데타(親衛 Coup d'état)는 기존 권력자가 자신의 지위를 유지하거나 강화하기 위해 군부 또는 국가기관을 동원해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정권을 유지하려는 시도를 의미합니다.

 

 

친위쿠테타 국립국어원
출처 :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에서 검색이 되지 않는 정식 단어는 아니네요.

 

 

 

친위쿠테타 나무위키
출처 : 네이버

 

나무위키에서는 이미 권력을 쥐고 있는 측이 더 큰 권력을 얻거나 요구하기 위해 스스로 벌이는 쿠테타 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정식 용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친위쿠테타는 자주 있는 사례가 아닌 것 같습니다.

해외에서도 이러한 사례가 종종 발생했네요.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러시아 - 1991년 8월 쿠데타 (소련 쿠데타 시도)

  • 배경 : 소련의 미하일 고르바초프 대통령이 추진한 개혁(페레스트로이카, 글라스노스트)에 반발한 강경파가 쿠데타를 시도했습니다.
  • 전개 : 당시 소련의 보수파 공산당 간부들과 군부 지도자들이 국가비상사태위원회를 조직하고 고르바초프를 연금했습니다.
  • 결과 : 국민과 보리스 옐친(당시 러시아 대통령)의 강력한 반발로 쿠데타는 3일 만에 실패했고 소련 붕괴의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칠레 - 1973년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쿠데타

  • 배경 : 당시 칠레 대통령이었던 살바도르 아옌데는 사회주의 개혁을 추진했으나 미국과 국내 보수 세력의 반발을 샀습니다.
  • 전개 : 칠레 군부가 아옌데를 축출하고, 군사독재자 피노체트가 권력을 장악했습니다.
  • 결과 : 군부 독재가 1990년까지 지속되었으며 반대파 탄압과 인권 유린이 심각하게 벌어졌습니다.

 


태국 - 2014년 쁘라윳 찬오차 군사 쿠데타

  • 배경 : 태국에서는 정치적 혼란이 이어지며 잦은 정권 교체와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
  • 전개 : 당시 태국 육군 참모총장이었던 쁘라윳 찬오차가 계엄령을 선포하고 민간 정부를 해산한 뒤 자신이 권력을 장악했습니다.
  • 결과 : 이후 쁘라윳은 총리로 선출되었지만 사실상 군부 통치가 지속되었습니다.

 


나이지리아 - 1993년 사니 아바차의 친위 쿠데타

  • 배경 : 1993년 민주적으로 선출된 모숄라 아비올라 대통령이 군부에 의해 선거 결과를 박탈당하고 정치적 불안정이 지속되었습니다.
  • 전개 : 당시 국방부 장관이었던 사니 아바차가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습니다.
  • 결과 : 군사독재가 1998년까지 지속되었고 반대 세력 탄압이 심각했습니다.

 


터키 - 2016년 에르도안 친위 쿠데타 논란

  • 배경 : 터키에서는 2016년 7월, 일부 군부 세력이 쿠데타를 시도했습니다.
  • 전개 :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은 반격에 성공했으며 이후 대규모 숙청 작업을 단행했습니다.
  • 논란 : 에르도안이 군부의 반발을 예상하고 일부러 쿠데타를 유도했거나 쿠데타를 빌미로 반대파를 제거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습니다.

 

 

이처럼 친위 쿠데타는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주 사용되지만 대부분 민주주의와 법치를 훼손하며 장기적으로 국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사건이든 역사의 교훈을 되새기며 민주주의를 지켜나가는 것이 중요하겠죠.